목록Spring (78)
빙응의 공부 블로그

📝WebFlux웹플럭스란 적은 쓰레드로 동시 처리를 제어하고 적은 하드웨어 리소스로 확장하기 위해 만들어진반응형 웹 프레임워크이다.🚩 탄생계기그렇다면 스프링 웹플럭스는 왜 만들어졌을까? 사실 제일 큰 이유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Spring MVC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트래픽이 많아지면 스레드도 많이 사용스레드 풀에 따라 엄청난 성능 편차스레드 스위칭 비용도 발생그래서 Spring WebFlux는 한계를 극복했다. 또한 업그레이드까지 적은 쓰레드로 동시 처리를 제어적은 하드웨어 리소스로 확장논블로킹 웹 스택 방식반응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적은 쓰레드로 동시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전통적인 서블릿 기반의 동기식 처리 모델에서는 각 요청이 처리되는 동안 쓰레드가 블로킹된다.반면, WebFlux는 논 블로..

이해하려면 전 편을 보고오자![React + Spring]리액트와 스프링 - 연동 (tistory.com) [React + Spring]리액트와 스프링 - 연동📝 Spring에 React 프로젝트 만들기 스프링과 리액트를 연결해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해보자!🚩 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Spring Initializr 의존성으로 롬복과 스프링 웹만 추가해주었다(저 사이트를quddnd.tistory.com[Spring]Spring - RestTemplate (tistory.com) [Spring]Spring - RestTemplateAPI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데 XML처리를 해야한다. 이것에 대해 알아보자 📝RestTemplate HTTP 통신을 위한 도구로 RESTful A..

API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데 XML처리를 해야한다. 이것에 대해 알아보자 📝RestTemplate HTTP 통신을 위한 도구로 RESTful API 웹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쉽게 위부 도메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할 때 사용되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클래스이다.다양한 HTTP 메서드를 사용하며 원격 서버와 동기식 방식으로 JSON, XML 등의 다양한 데이터 형식과 통신이 가능동기식 방식으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을 때까지 블로킹되며, 요청과 응답이 완료되기 전까지 다음 코드로 진행되지 않는다.RestTemplate (Spring Framework 6.1.7 API) RestTemplate (Spring Framework 6.1.7 API)postForLocation C..

📝 Spring에 React 프로젝트 만들기 스프링과 리액트를 연결해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해보자!🚩 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Spring Initializr 의존성으로 롬복과 스프링 웹만 추가해주었다(저 사이트를 사용하면 스프링부트는 자동 추가된다.)🚩 React 프로젝트 만들기터미널을 이용해서 스프링 프로젝트 src/main 부분에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된다. 뭔진 몰라도 이상하게 intellij에서 npx 명령어가 안되서 vscode로 진행하였다. 📝 프로젝트 연동리액트와 스프링은 각각 Localhost:3000번 포트와 8000번 포트를 사용한다.우리는 이것을 같게 만들어서 연동해주어야 한다. 만약 다르게 실행하면 CORS 오류가 생긴다. 더보기CORS(Cross-Origin R..

🚩 전 포스팅가기 [Spring]Spring Security + JWT(1) (tistory.com) [Spring]Spring Security + JWT(1) 📝JWT를 구현해보자! JWT를 간단하게 구현해보자. 나는 2가지 토큰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1가지 토큰만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겠다! 📝1. 회원가입 구현 회원가입은 통상의 Spring Security quddnd.tistory.com 📝5. JWT 토큰 발급 및 검증하기 🚩전 포스팅에서 로그인 로직을 만들었으니 JWT 토큰의 발급과 검증을 만들어보자. 토큰 발급 방식 우리는 JWT에 대한 로그인 로직을 생각해봐야한다. 로그인을 성공하면 토큰을 발급하고 다음에 로그인 시도 시에 토큰 유무를 검사하여 로그인을 패스해야한다. 로그인 시도 ..

📝JWT를 구현해보자! JWT를 간단하게 구현해보자. 나는 2가지 토큰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1가지 토큰만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겠다! 개발자 유미 - YouTube 개발자 유미 백엔드 개발자 유미 - 실습 위주 진행 (개념적인 부분은 공식 Docs 참조 및 개인 학습 바랍니다!) - 간혹 댓글 알림이 안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www.youtube.com 이분꺼 보고 학습했으니 구독박자 📝1. 회원가입 구현 회원가입은 통상의 Spring Security와 다른 점이 없다. 간단하게 중복 검사를 통한 회원 가입을 진행한다. 🚩JWT에 초점을 맞춰 우리는 비밀번호 암호화를 제외한 Validation은 진행하지 않는다! @PostMapping("/join") public String joinPro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