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ICD (6)
빙응의 공부 블로그

📝개요혼자 진행한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배포해봅시다!📝[CI] GitHub Actions 작성하기 저의 프로젝트는 Gradle, SpringBoot, Java이기에 GitHub Action에서 Gradle을 골랐습니다. name: CI/CDon: push: branches: - main # main 브랜치에 푸시될 때 이 워크플로우가 트리거됩니다.jobs: build: runs-on: ubuntu-latest permissions: contents: read # 리포지토리의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steps: - name: Checkout code uses: actions/checkout@v4 # 리포지토리의 코드를 체..

📝개요서비스를 개발하면서 DB 계정 정보, JWT 시크릿 키, AWS IAM 정보 등 외부에 절대 공개해서는 안되는 값들을 Application.yml에 저장한다.... 우리는 통상 개발을 하면서 yml 파일에 모든 것을 저장하고 .gitignore에 yml 파일을 등록하여 yml 파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했다. AWS EC2 그렇다면 AWS EC2 인스턴스에 빌드 파일을 올려 실행할 때, 혹은 Github Action을 통해 테스트 코드 실행 & 빌드를 실행할 때 이 yml 파일을 어떻게 관리해야할까??📝Github Actions Github Actions는 github가 제공하는 기능으로, 특정 트리거가 발동되었을 때 미리 설정한 워크플로를실행시키는 자동화 툴이다. 활용을 하면 main 브랜치에..

EC2를 만들어보자!!📝0단계. 생성 들어가기로그인을 한 후에 검색창에 EC2를 검색해서 들어가주자 검색을 통해 들어간 후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주면 된다. 📝1단계. 태그 추가하기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키-값 페어로 이루어져 인스턴스에 이름을 붙인다고 생각하면 된다.태그 별로 요금 확인이 가능하기에 자기가 원하는 태그를 만들어주면 된다. 📝2단계. AMI 설정하기 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OS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리티어 이기에 프리티어가 사용 가능한 것을 체크해서 사용하면 된다. 나는 통상 가장 많이 쓰는 Ubuntu를 선택했다 📝3단계. 인스턴스 유형 선택 인스턴스 유형은 [AWS]EC2와 기본 개념들 (tistory.com) 에서 배운 인스턴트들을 선택하는 것이다.프리티어가..

가상 서버 서비스 EC2와 기본으로 알아야하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Amazon EC2장점가상 머신 - Virtual Machine재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쉽게 확장/축소되는 컴퓨터 용량다양한 이스턴스 타입 제공사용한 만큼 과금📝EC2의 인스턴스 인스턴스란?단순하게 AWS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가상 컴퓨터라고 이해하면 된다.가상의 컴퓨터에의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등 연산을 위한 하드웨어 부분을 담당한다. 📌 더 쉽게 이해하기 인스턴스는 쉽게 비유해서 게임의 직업처럼 생각할 수 있다. 위의 사진은 엘든링이라는 게임인데 시작시에 직업을 정해서 각 직업에 맞게 특화 성능을 낼 수 있다. 📌 EC2의 인스턴스 종류 위의 종류처럼 각 상황에 맞게 인스턴스를 골라 사용하면 된다. 📝 ..

📝 시작하기 전에..AWS의 S3를 이용하려면 S3 버킷을 만들고IAM 사용자 생성 및 설정을 해서 연결을 해주어야 한다.1. IAM 사용자 생성 및 설정2. AWS S3 bucket 생성 및 설정3. Spring boot 설정4. Spring boot로 간단한 로직 작성해당 포스팅은 3, 4번 과정만 사용할 것이며 1, 2번은 아래의 영상으로 확인해주길 바랍니다.[SWTT] AWS S3를 이용한 이미지 서버 구축하기 with Spring Boot (youtube.com)' 📝 1. Spring boot 설정하기 📌의존성 설정하기 AWS를 이용하기 위해 의존성 설정부터 해주자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aws:2...

📝클라우드란 무엇일까? 클라우드란 무엇일까? 클라우드를 보면 대부분 구름모양인 것을 알 수 있다.Cloud Computing언제 어디서든 컴퓨터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언제 어디서든 데이터 저장 및 사용 가능바로 사용가능하고, 사용한만큼 과금전산 자원들을 공유하는 기술과 도구의 집합 📌 클라우드 컴퓨팅을 써야하는 이유그렇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왜 사용할까? 큰 이유가 있는데1. 많은 초기 구축비용2. 용량의 한계3. 많은 노력이 모든 것들을 다 해결할 수 있다. 괜히 땅파서 장사하는게 아니다! 📝AWS그렇다면 많은 클라우드 중 왜 AWS일까요? 📌 1. AWS는 가장 성숙한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AWS는 수많은 수의 사용자와 리소스를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