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DB (9)
빙응의 공부 블로그

이번 장은 MyISAM은 제외합니다.📝4.1 MySQL 엔진 아키텍처MySQL 서버는 다른 DBMS에 비해 구조가 상당히 독특합니다.사용자 입장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이러한 독특한 구조 때문에 엄청난 기능을 누릴 수 있어요.반대로 다른 DBMS에서 발생하지 않는 문제도 생깁니다. 🧷4.1.1 MySQL 전체 구조 MySQL은 일반 RDBMS와 같이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두 지원합니다. MySQL은 크게 MySQL 엔진과 스토리지 엔진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책에서는 이렇게 구분한 이유를 MySQL의 쿼리 파서와 옵티마이저 등과 같은 기능을 스토리지 엔진과 구분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이 둘을 합친 것 자체가 사실상 MySQL 서버입니다. 📌 4.1.1.1 MySQL 엔진..

📝 2장 MySQL 시스템 변수의 특징 MySQL 서버는 기동하면서 설정 파일의 내용을 읽어 메모리와 작동 방식을 초기화하고, 접속된 사용자를 제어하기 위해 값을 별도로 저장한다. 이러한 값을 시스템 변수라고 한다. CMD에서 SHOW VARIABLES && SHOW GLOBAL VARIABLES로 확인 가능하다.SHOW VARIABLES && SHOW GLOBAL VARIABLES 📌 적용 범위 측면의 시스템 변수시스템 변수 값이 어떻게 MySQL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려면 각 변수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시스템 변수는 적용 범위에 따라 글로벌과 세션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세션별로 적용되는 시스템 변수의 경우 글로벌 변수 뿐만아니라 세션 변수에도 동시에 존재한다.글로벌 변수하나의..

📝1장 왜 MySQL을 사용하는가? "어떤 DBMS를 사용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DBMS가 좋은가요??" 책에 따르면, 10년 전에는 DBMS 선택지가 많지 않아 오라클과 MySQL이 주요 선택지였습니다. 당시 오라클은 MySQL보다 성능이 뛰어났지만, 가격이 너무 비쌌습니다. 시간이 지나 데이터의 양이 수백 배, 수천 배로 늘어나면서, 오라클의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겼고, 결과적으로 MySQL이 유일한 대안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어떨까요? 시대가 발전하면서 RDBMS만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DBMS가 등장했습니다. NoSQL을 시작으로 객체 관계형인 PostgreSQL까지요 이 상황에서 DBMS는 어떻게 고르는게 좋을까요?그것은 다음 순서로 고려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