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응의 공부 블로그
[AWS][EC2]EC2 인스턴스 생성 본문
EC2를 만들어보자!!
📝0단계. 생성 들어가기
로그인을 한 후에 검색창에 EC2를 검색해서 들어가주자
검색을 통해 들어간 후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주면 된다.
📝1단계. 태그 추가하기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키-값 페어로 이루어져 인스턴스에 이름을 붙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태그 별로 요금 확인이 가능하기에 자기가 원하는 태그를 만들어주면 된다.
📝2단계. AMI 설정하기
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OS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리티어 이기에 프리티어가 사용 가능한 것을 체크해서 사용하면 된다. 나는 통상 가장 많이 쓰는 Ubuntu를 선택했다
📝3단계. 인스턴스 유형 선택
인스턴스 유형은 [AWS]EC2와 기본 개념들 (tistory.com) 에서 배운 인스턴트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프리티어가 사용가능한 가장 무난한 인스턴스를 선택했다.
📝4단계. 키 페어 생성
생성한 인스턴스를 접근해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SSH를 사용한다. 이 때 사용할 키를 생성하는 것이 바로 키 페어 설정이다.
처음 생성하는 것이기에 새 키 페어 생성을 진행하여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이것은 한번만 다운 가능하기에 주의하자
📝5단계. 네트워크 설정
인스턴스가 사용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이다. AWS에서 네트워크는 VPC로 불리며 사설 아이피, 서브넷, 공인 아이피 등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설정만으로 충분히 운영이 가능하여 세부적인 편집을 할 필요가 없다.
보안 그룹을 설정한다. 기존의 보안 그룹이 없기에 보안 그룹 생성을 선택하고 기초적인 설정을 하면 된다.
프라이빗 키를 설정했어도 SSH 서비스가 인터넷에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내 IP를 선택하여 자기만 접속하게 하자
📝6단계. 스토리지 구성
하드디스크라 불리는 스토리지 구성이다. 프리티어에 맞춰 사용하면 된다.
📝생성완료!
해당처럼 생성이 완료된 것을 볼 수 있다.
일단 주의할 점은 지금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는 종료 상태로 해두자 일단 돈이 드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러한 습관이 필요하다.
'CIC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C2와 기본 개념들 (0) | 2024.08.23 |
---|---|
[AWS][S3] Spring Boot + S3 이미지 저장 (1) | 2024.08.05 |
[AWS] 클라우드와 AWS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