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응의 공부 블로그
[BOJ]1926번 그림 본문
그림 성공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 128 MB | 38662 | 16860 | 11684 | 42.223% |
문제
어떤 큰 도화지에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 그 그림의 개수와, 그 그림 중 넓이가 가장 넓은 것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라는 것은 1로 연결된 것을 한 그림이라고 정의하자. 가로나 세로로 연결된 것은 연결이 된 것이고 대각선으로 연결이 된 것은 떨어진 그림이다. 그림의 넓이란 그림에 포함된 1의 개수이다.
입력
첫째 줄에 도화지의 세로 크기 n(1 ≤ n ≤ 500)과 가로 크기 m(1 ≤ m ≤ 500)이 차례로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1 줄 까지 그림의 정보가 주어진다. (단 그림의 정보는 0과 1이 공백을 두고 주어지며, 0은 색칠이 안된 부분, 1은 색칠이 된 부분을 의미한다)
출력
첫째 줄에는 그림의 개수, 둘째 줄에는 그 중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는 0이다.
📝풀이
너도 할 수 있다!
간단한 DFS/BFS 문제
저는 DFS로 풀었습니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ArrayList<ArrayList<Integer>> graph = new ArrayList<>();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N,M;
static int start, end;
static int max = 0;;
static int count = 0;
static int[] dx = {-1, 1, 0, 0};
static int[] dy = {0, 0, -1, 1};
//그래프 초기화
public static void init(int N,int M){
visited = new boolean[N][M];
for(int i = 0; i<N; i++){
graph.add(new ArrayList<Integer>());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M = sc.nextInt();
init(N,M);
for(int i = 0; i< N;i++){
for(int j = 0; j<M;j++){
graph.get(i).add(sc.nextInt());
}
}
for(int i = 0; i< N;i++){
for(int j = 0; j<M;j++){
if(!visited[i][j]&&graph.get(i).get(j) == 1){
max = Math.max(dfs(i,j),max);
count++;
}
}
}
System.out.println(count +"\n"+max);
}
public static int dfs(int x, int y){
visited[x][y] = true;
int power = 1;
int[] dx = {-1, 1, 0, 0};
int[] dy = {0, 0, -1, 1};
for (int d = 0; d < 4; d++) {
int nx = x + dx[d];
int ny = y + dy[d];
if (isValid(nx, ny) &&!visited[nx][ny] && graph.get(nx).get(ny) == 1) {
power += dfs(nx, ny);
}
}
return power;
}
// 배열 범위 체크
public static boolean isValid(int x, int y) {
return x >= 0 && x < N && y >= 0 && y < M;
}
}
'Ar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S2][#그리디]1138번 한 줄로 서기 (0) | 2024.07.01 |
---|---|
[BOJ S3][#구현]1051번 숫자 정사각형 (0) | 2024.07.01 |
[BOJ]2606번 바이러스 (1) | 2024.01.26 |
[BOJ]1303번 전쟁 - 전투 (1) | 2024.01.26 |
[BOJ]1041번 주사위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