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응의 공부 블로그

[정처기]실기 11장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본문

정처기

[정처기]실기 11장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빙응이 2024. 4. 12. 17:04

📝132. 운영체제의 개념

  • 운영체제
    • 컴퓨터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
  • 목적
    • 처리 능력
    • 반환 시간
    • 사용 가능도
    • 신뢰도

📝133. 운영체제의 종류

  •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운영체제
    • 주요 특징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선점형 멀티태스킹
      • PnP
      • OLE
      • Single-User 시스템
  • UNIX
    • 벨 연구소, MIT가 공동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 개방형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
    • 구성
      • 커널
      • 유틸리티 프로그램
  • LINUX
    • 리누스 토발즈가 UNIX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
  • MacOS
    • 애플 사가 UNIX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 
  • Android
    • 구글 사에서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운영체제
  • ios
    • 애플 사가 개발한 유닉스 기반 모바일 운영체제
더보기

문제 1. 리눅스의 커널 위에서 동작하며, 자바와 코틀린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 등 휴대용 장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정답 : 안드로이드

 

문제 2. 벨 연구소와 MIT 사가 함께 공동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정답: UNIX

 

문제 3. UNIX의 가장 핵심되는 부분으로,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정답 : 커널

📝134. 기억장치 관리

  • 기억장치 관리 전략
    • 한정된 주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 반입 전략
    • 요구 반입 : 참조를 요구할 때 적재
    • 예상 반입 : 참조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하는 방법
  • 배치 전략
    •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 결정
    • 최초적합
    • 최적적합
    • 최악적합
  • 교체 전략
    •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135. 가상기억장치 구현 기법

  • 가상 기억 장치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
  • 페이징 기법
    • 프로그램과 주기억장치의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
    • 페이지 프레임 단위라고도 함
  • 세그먼테이션 기법
    •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후 주기억장치에 적재시켜 실행

📝136.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어떤 페이지 프레임을 선택하여 교체할 것이닞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 OPT
    •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 FIFO
    • 가장 먼저 들어와서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
  • LRU
    •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한느 기법 
  • LFU
    •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
  • NUR
    •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SCR
    • 가장 오랫동안 주기억장치에 있던 페이지 중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를 방지하는 기법 
더보기

문제 1. 페이지 교체 기법 중 매 페이지마다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 즉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가 필요한 기법을 쓰시오

정답 : NUR

 

문제 2. 요구 페이징 기법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기법을 쓰시오

 

정답 : LRU

📝137. 가상기억장치 기타 관리 사항

  • 페이지 크기에 대해 
    •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 페이지 단편화가 감소하나 디스크 접근 횟수가 증가
    •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 페이지 단편화가 증가되고 매핑 속도가 빨라짐
  • Locality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이 있다는 이론
    • 시간 구역성
      • 일정 시간에 집중
    • 공간 구역성
      • 일정 구역에 집중
  • 워킹 셋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 스래싱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더보기

문제 1.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를 쓰시오

 

정답 : 워킹셋

 

문제 2.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페이지 부재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지는 현상은?

 

정답 :스래싱

 

문제 3.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메모리의 일정 부분만을 집중적을 ㅗ참조한다는 성질을 의미하는 용어를 쓰시오

 

정답 : Locality

📝138. 프로세스의 개요 

  •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PCB(프로세스 제어 블록)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곳이다.
  • 프로세스 상태 전이
    • 제출 :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업을 시스템에 제출한 상태
    • 접수 : 제출된 작업이 스풀 공간인 디스크의 할당 위치에 저장된 상태
    • 준비 :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
    • 실행 : 준비상태 큐에 있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상태 
    • 대기, 블록 : 입출력처리를 위해 대기하는 상태
    • 종료
  • 프로세스 상태 전이 관련 용어
    • Dispatch :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실행 상태로 전이하는 과정
    • Wake UP : 대기 상태를 준비 상태로 전이
    • Spooling :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하는 것을 의미 
    • 교통량 제어기
  • 스레드
    •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이다. 
더보기

문제 1. 다음 프로세스 상태 전이도를 쓰시오

 

제출 - 접수 - (   1    ) - (   2  ) 

(   2    ) - 종료

(   2    )  -   (    3    ) - (   1  )

 

정답 : 준비 실행 대기 

📝139. 스케줄링

  • 스케줄링
    • 시스템의 여러 장원을 해당 프로세스에 할당하는 작업
      • 장기 스케출링 :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자원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작업
      • 중기 스케줄링 : 어떤 프로세스들이 CPU를 할당받을 것인지 결정하는 작업
      • 단기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해 CPU를 할당받는 시기와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작업
  • 스케줄링의 목적
    • 공정성
    • 처리율 증가
    • CPU 이용률 증가
    • 우선순위 제도
    • 오버헤드 최소화 
    • 응답 시간 최소화
    • 반환 시간 최소화
    • 대기 시간 최소화
    • 균형 있는 자원의 사용
    • 무한 연기 회피
  • 비선점 스케줄링
    • 이미 할당된 CPU를 뺏을 수 없는 스케줄링
  • 선점 스케줄링
    • 강제로 CPU를 뺏을 수 잇는 스케줄링

📝140. 주요 스케줄링 알고리즘

  • FCFS
    • 준비상태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CPU를 할당하는 기법 
  • SJF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는 프로세스들 중 실행 시간이 짧은 것부터 차례로 할당
  • HRN
    •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하는 기법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 RR
    • 시간 할당량 동안만 실행한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서 CPU를 넘겨주는 기법
  • SRT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 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

 

더보기

문제 1. HRN 비선점형 스케줄링의 우선순위를 구하는 계산식을 쓰시오

 

정답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문제 2. SJF 스케줄링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을 때, 평균 반환 시간과 평균 대기 시간을 쓰시오

P1 : 7, P2 : 8, P3 : 4, P4 : 3

 

평균 반환 시간 : (3 + 7 + 14 + 22) /4 = 11.5 

평균 대기 시간 : (0 + 3 + 7 + 14) / 4 = 6

 

문제 3. 빈칸을 쓰시오

(    1    )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 시가닝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    2    ) :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주닙상태 큐에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받지만 각 프로세스는 시간 할당량 동안만 실행한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는 기법이다.

(    3    )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

 

정답 : 1. SJF , 2. RR, 3. SRT

📝141. 환경 변수 

  • 시스템 소프트웨어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142.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 UNIX/LINUX 기본 명령어
    • cat :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함
    • cd : 디렉터리 위치를 변경
    • chmod : 파일 모드를 설정하는 것 
더보기

문제 1. 리눅스 또는 유닉스에서 a.txt 파일에 대한 다음 처리조건을 부여하자고 한다 명령문을 쓰시오

1.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2. 그룹에게 읽기,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3. 기타 사용자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4. 한줄로 작성하고, 8진법 숫자를 이용한 명령문을 이용한다.

 

정답 : chmod 751 a.txt 

 

문제 2. UNIX에서 abc.txt 파일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읽기, 쓰기 권한을 제거하는 명령문을 작성하시오

 

정답 : chmod o-rw abc.txt

📝143. 인터넷

  • 인터넷
    •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
    •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 
  • 서브네팅
    •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 
    • 참고로 첫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 케스트 주소이다. 
  •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
    •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을 지원 
    • 패킷 크기를 확장이 가능해 크기에 제한이 없다. 
    • 구성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애니캐스트
  •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라밍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
더보기

문제 1.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은?

 

정답 : IPv6

 

문제 2. 빈칸을 쓰시오

1. IPv6는 (    1    ) 비트의 주소를 가진다.

2. IPv4는 32비트의 주소를 가지며 (   2   ) 비트씩 4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정답 : 1. 128, 2. 8

 

문제 3. 서브네팅에 대한 다음 설명에 대한 괄호를 쓰시오

현재 IP 주소가 192.168.1.132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일 때,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 1 )이고, 해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사용가능 호스트의 수는 (   2   )개이다.

 

정답 : 1. 192.168.1.128 2. 62개

📝144. OSI 참조 모델 

  •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이다.
  • 물리계층
    • 두 장치 간의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 데이터 링크 계층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 간에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위해 시스템 간 연결 성정 및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한다.
    • 프레임을 사용하며 오류 제어기능과 순서 제어 기능을 지원한다.
  • 네트워크 계층
    • 개방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한다.
    • 경로 설정, 데이터 교환 및 중계,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
    • IP 가 있다.
  • 전송 계층
    • 종단 시스템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 TCP, UDP가 있다.
  • 세션 계층
    • 토큰 관리 및 송수신 측의 관련성을 유지한다.
  • 표현 계층
    • 형태를 변환하는 계층으로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등을 한다.
  • 응용 계층 
더보기

문제 1. OSI 참조 모델의 계층을 쓰시오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 비트 스트림을 전송한다.

두 장치간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규칙을 정의

 

정답 : 물리 계층

📝145. 네트워크 관련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LAN 카드라고 도 불린다.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이다.
  • 허브
    • 근거리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  
  • 리피터
    • 수신한 신호를 출력 전압을 높이는 장치
  • 브리치
    • LAN과 LAN 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 네트워크 계층
  • 스위치
    • LAN과 LAN을 연결해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제공
  • 라우터
    •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 네트워크 계층 

📝146. TCP/IP

  • 프로토콜
    •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 규약
    • 기본 요소
      • 구문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정보
      • 의미 : 제어 정보를 규정
      • 시간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를 규정
  • TCP/IP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 TCP
      • 전송 계층에 해당함
      • 연결형 서비스 제공
      •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
    • IP 
      •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지정, 경로 선택 기능 제공
  •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SMTP : 전자 우편 교환 서비스
    • TELNET : 멀리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 처럼 사용
    • SNMP :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 DNS
    • HTTP : HTML 문서 송수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 인터넷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 IP
    • ICMP
      •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 관리
      • 헤더는 88BYTE이다.
    • IGMP
      • 멀티 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
    • ARP
    • RARP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 Ethernet : CSMA/CD 방식의 LAN
    • HDLC : 비트 위주의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IEEE 802 : LAN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 X.25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RS-232C :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토콜
    • L2TP ; PPTP와 L2F의 기술적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터널링 프로토콜 
더보기

문제 1. 다음 네트워크 관련 설명은 무엇인가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을 기술적 은어를 뜻하는 (     )라는 용어로 정의하였다.

 

정답 : 프로토콜

 

문제 2. 프로토콜 기본 3요소를 쓰시오

 

정답 : 구문,의미,시간

 

문제 3. IP의 기술적 주요 구성원 중 하나로, 네트워크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등 오류 처리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주로 취급한다.

 

정답 : ICMP

 

문제 4. PPTP와 L2F의 장점을 합쳐 만들어진 것은?

 

정답 : L2TP 

📝147. 네트워크 관련 신기

📝148. 네트워크 구축

  • 네트워크
    •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하여 자원을 공유하는것
  • 성형
    • 중앙에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 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 형식
  • 링형
    • 컴퓨터와 단말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시킨 후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을 ㅜㄱ성
  • 버스형
    • 한개의 통신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장치를 연결
  • 계층형
    • 트리 형태이다. 노드는 중앙 컴퓨터
  • 망형
    • 모든 지점을 컴퓨터와 연결한것
  • 네트워크 분류
    • 근거리 통신망(LAN)
    • 장거리 통신망(WAN)
  • NAT
    • 한 개의 정식 IP 주소에 대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및 연결하는 기능
더보기

문제 1. 1개의 정식 IP 주소에 대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은?

 

정답 : NAT

📝149. 경로 제어/ 트래픽 제어

  • 경로 제어
    •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 경로 제어 프로토콜
    • IGP
      • RIP
        • 현재 가장 널리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한다.
        • 벨만 포드 알고리즘 사용
        • 최대 홉을 15개로 제한
      • OSPF
        • RIP의 단점을 해결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
    • EGP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 BGP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짐
  • 트래픽 제어
    • 송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 기법
        • 정지 대기 - ACK로 확인 받고 전송하는 방식
      • 슬라이딩 윈도우 
        • 확인 신호, 즉 수신 통지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
더보기

문제 1. 다음을 설명하는 것은?

RIP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

 

정답 : OSPF

 

문제 2. 다음이 설명하는 프로토콜을 쓰시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정답 : RIP 

📝150. SW 관련 신기술

  • 블록체인
    •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 그레이웨어
    •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악의적이지 않을 유용한 소프트웨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일 수도 있는 것들을 말함.
  • 메시업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만드는 기술 
  • 시맨틱 웹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지능형 웹
  • Vaporware
    • 판매 계획을 발표했으나 판매 안하는 소프트웨어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
  • Saas
    • 필요한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한 서비스
  • 디지털 트윈
    • 현실 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151.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활동 관련 법령 및 규정

  • IT 기술 관련 규정
    • 정보보호 관리 체계(ISMS)
      •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호 절차와 대책이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중 

📝152.  HW 관련 신기술

  • RAID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잇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할 경우,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거나 쓸 수 있으므로 디스크 속도가 매우 향상되는데, 이 기술을 RAID라 한다.
    • 레벨
      • RAID 0 - 스트라이핑 방식
      • RAID 1 - 미러링 방식
      • RAID 5 - 스트라이핑 방식에 패리티 사용
      • RAID 6 - 이중 패리티 추가 
  • 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자유롭게 사용 
  • 컴패니언 스크린
    • N스크린의 한종류로 TV 방송 시청 시 방송 내용을 공유하거나 추가적인 기능 수행 가능 
  • 패블릿
    • 폰과 태플릿의 합성어
  • 멤스 
    •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초 미세 장치이다.
  • 트러스트존 기술
    •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 일반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구역과 보안 구역을 나눈 기술
더보기

문제 1. 다음 RAID의 LEVEL을 답하시오

레이드 방식 중 페리티가 없는 스트라이핑된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방식

 

정답 : LEVER 0

 

문제 2. (     )은 칩 설계 회사인 ARM이 개발한 기술로 일반 구역과 보안 구역으로 나누는 기술이다.

 

정답 : 트러스트존 기술

📝153. Secure OS

  • 보안 기능을 갖춘 커널을 이식한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 참조 모니터
    • 보호 대상 객체에 대한 접근 통제를 수행하는 추상머신이다.

📝154. DB 관련 신기술

  • 메타 데이터
    • 일련의 데이터를 정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
  • 하둡
    • 오픈 소스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그 안에 보관된 거대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하는 자바 기반 프레임워크
  • 맵리듀스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을 ㅗ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관성 있는 데이터 분류로 묶는 Map 작업을 수행한 후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 타조
    •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 기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 데이터 마이닝
    •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안에 상호 관계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는 것 
  • OLAP
    •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
더보기

문제 1. 분산 컴퓨터에 대한 다음 설명의 용어를 쓰시오

오픈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

분산 저장된 데이터들은 클러스터 환경에서 병렬 처리

 

정답 : 하둡

 

문제 2.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개념을 서술하시오

 

정답 : 대규모의 데이터 안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규칙을 찾는 거 ㅅ

📝155. 회복/ 병행제어

  • 회복
    •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기 이전으로 복구하는 작업
    • 종류
      • 연기 갱신 기법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질적인 갱신을 연기하는 기법
        • Redo 작업만 가능
      • 즉각 갱신 기법
        •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면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 되기 전이라도 즉시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
        • LOG를 이용해 장애를 대응
        • Redo와 Undo 모두 사용
      • 검사점 기법 
        • 트랜잭션 실행 중 특정 단계에서 재실행 할 수 있도록 갱신 내용이나 시스템에 대한 상황 도 함께 검사점을 로그에 보관한다.
  • 병행제어
    • 종류 
      • 로킹
        • 어떤 로킹 단위에 액세서하기 전에 Lock을 요청해서 허락되어야만 그 곳에 엑세스 가능
      • 타임스탬프 순서
        • 트랜잭션이 실행을 시작하기전에 시간표를 부과하여 부여된 시간에 따라 트랜잭션 ㅏㅈㄱ업 수행 
  • 로킹 단위
    •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개체의 크기를 의미
더보기

문제 1.

(     )은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변경하면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되기 전이라도 즉시 실제 DB를 갱신하는 기법이다.

 

정답 : 즉각 갱신 기법

 

문제 2. 데이터베이스 병행제어 기법 중 하나로 접근에 대한 연산을 모두 마칠 때까지 추가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정답 : 로킹 

📝156. 교착상태

  •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 조건
    • 상호 배제
    • 점유와 대기
    • 비선점
    • 환형 대기
  • 해결 방법
    • 회피기법
      • 은행원 알고리즘
더보기

문제 1. 교착상태의 필요충분 조건 4가지를 쓰시오

 

정답 : 환형 대기, 비선점, 점유와 대기 상호배제

 

문제 2. 은행가 알고리즘은 교착상태 해결방법에서 무엇에 해당하는가

 

정답  : 회피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