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응의 공부 블로그
[정처기]5장 요점 정리 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구조적 방법론
- 분할 정복 원리 적용
정보공학 방법론
- ERD 사용
객체지향 방법론
- 부품 조립하듯 객체를 조립해 소프트웨어 구현
컴포넌트 기반 방법론
- 컴포넌트 재사용이 가능한 개발 방법
애자일 방법론
소프트웨어 재사용 방법
- 합성 중심 : 블록을 만들어서 끼워 맞추어 소프트웨어를 오나성시킴
- 생성 중심 : 추상화 형태
소프트웨어 재공학
- 분석(Analysis)
- 재구성(Restructuring)
-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 이식(Migration)
🚩비용 산정 기법
상향식
- LOC(원시 코드 라인수)
- 비관치 낙관치, 기대치로 측정
수학적 산정 기법
- COCOMO 모형
- LOC에 의한 산정 기법 (노력을 사용MM)
- Organic, semi-Detached, Embedded가 있음
- Putnam 모형
- 그래프로 분포를 표기
- 기능 점수 모형
🚩프로젝트 일정 계획
PERT
- 프로젝트 일정 작업 예측치를 계싼한다. 각각의 여러 지표(결정 경로, 경계시간, 작업 간의 상호관련성)를 통해 결정
CPM
- 크리티컬 패스기법, 임계 경로로 최장 경로를 지정하여 소요 기간 예측
간트 차트
- 시간선 차트라 불림
프로젝트 관리
- 위험관리 : 식별 - 분석- 계획 - 조치 순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ISO/IEC 12207
CMMI
- 업무 능력 및 조직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모델
- 초기 - 관리 - 정의 -정략적 관리 -최적화
SPICE
-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국제 표준 평가 및 개선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 SDN : 네트워크를 컴퓨터 처럼 모델링
- SDDC :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 개입없이 관리 및 제어
- SDS : 물리적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처럼 관리
IoT관련 용어
- ALLJoyn : 오픈소스 기반 사물인터넷 플랫폼
- 메시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 목적 네트워크
- PICONET :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기반 HSM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암호화 키를 생성 저장 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보안 기기
- PaaS-TA :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기타 용어
- Zing : 근접 초고속 무선 통신
- SSO : 한번 로그인하면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 스마트 그리드 : 정보 기술을 전력에 접목해 효율성을 높인 시스템
- 메타버스
🚩네트워크 구축
성형
링형
버스형
- 하나의 중앙 회선
계층형
망형
LAN 표준안
- 802.1 : WJSCPWJR RNTJD
- 802.2 : 논리 링크 제어 계층
- 802.3 : CSMA/CD 방식
- 802.4 : 토큰 버스
- 802.5 : 토큰 링
- 802.6 : 도시형 통신망
- 802.9 : 종합 음성 데이터 네트워크
- 802.11 : 무선 LAN
CSMA/CD
- 프레임 충돌 방지와 해소를 위해 검출 기능과 재송신 기능을 가짐 유선이다.
CSMA/CA
- 프레임 충돌 방지와 해소를 위해 검출 기능과 재송신 기능을 가짐 무선이다.
🚩SW 관련 신기술
- 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해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기술
- Vaporware : 배포 계획을 발표했으나 출시 안한 것
- 디지털 트윈 : 현실속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
보안 관련 용어
- 비트로커 : 볼륨 암호화 기능
- Baas : 블록체인 앱의 개발 환경을 지원
- OWASP : 웹 정보 노출에 대한 연구를 하는 비영리 단체
- TCP 래퍼 : 외부 컴퓨터 접속 인가 여부를 점검 및 접속 허용 및 거부
- 허니팟 : 비정상적인 접근을 탐지
- DPI : 침입 시도ㅡ 해킹 등을 탐지하고 트래픽을 조정하는 패킷 분석 기술
고가용성 솔루션
-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장애 발생 즉시 다른 시스템을 대체
🚩DB 관련 기술
하둡
- 오픈 소스 기반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
- 스쿱을 통해 데이터 전송
맵리듀스
- 구글이 고안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병렬 처리 기법
타조
-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회복과 병행제어
회복
- 트랜잭션을 이전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 기법
- 연기 갱신 기법 : LOG 필요
- 즉각 갱신 기법 : LOG 필요
병행 제어
- 로킹
- 타임 스탬프 순서
교착상태
- 필요 충준 조건
- 상호배제
- 점유와 대기
- 비선점
- 해결 방법
- 회피 기법 : 은행원 알고리즘
Secure SDLC
- 보안상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보안 강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 것
- 보안 요소
-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암호화 알고리즘
개인키 암호화 기법
- 대칭 암호화 기법 비밀키 암호화 기법
- 장점 : 속도가 빠르고 알고리즘이 단순
- 단점 : 사용자가 증가하면 관리해야할 키가 증가
- 블록 암호화 방식 : DES , SEED , AES, ARIA, IDEA
- 스트림 암호화 방식 :LFSR, RC4
공개키 암호화 기법
- 비대칭 암호 기법
- RSA 기법이 있음
- 장점 : 키분배가 용이
- 단점 :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
해쉬 기법
- 난수 생성으로 키 변환
- 복호화가 거의 불가능 일방향 함수
- 종류는 SHA 시리즈, MD5, N-NASH 등이 있음
- SEED
- ARIA : 국가정보원, 산학연합회
- DES : 64비트 블록 암호화
- AES: DES를 개편
- RSA : 소인수 분해 알고리즘
- ECC : 이산대수
- RABIN : 소인수분해
🚩보안 관련 공격
입력 데이터 검증
- SQL 삽입
- 경로 조작
-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XSS : 웹 페이지에 악의적인 스크립트 삽입
- 운영체제 명령어 삽입
서비스 공격
- Ping of Death
- 패킷을 허용범위 이상으로 전송해 네트워크 마비
- SMURFING
-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한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보내는 것
- SYN Flooding
- TCP 의 3Way handshack를 공격
- Land
- 송신 수신 둘다 공격
- DDoS
- 분산 서비스 공격
🚩서버 인증
인증
- 로그인을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
- 지식기반인증
- 소유기반인증
- 행위기반인증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실기 2장 - 데이터 입출력 구현 (2) | 2024.04.02 |
---|---|
[정처기]실기 1장 - 요구사항 확인 (0) | 2024.04.01 |
[정처기]4장 요점 정리 (1) | 2024.02.13 |
[정처기] 3장 요점 정리 (0) | 2024.02.09 |
[정처기]2장 요점 정리 (0) | 2024.02.07 |